Honey-Programming

[TIL-006] 20.07.27 본문

코드스테이츠/Today I Learned

[TIL-006] 20.07.27

Latte_is_horse 2020. 7. 27. 23:25

1. Today's Todo

  • 프리코스 1일차(난 중고...)
  • 변수와 자료형
  • 함수
  • 코플릿(변수와 자료형)

 

2. Achievement Goal

 

#1 프리코스 1일차(난 중고...)

 난 중고다... 하지만 같은 중고라도 SS급, S급 A급,B급, 등이 있을것이다.

자연스럽게 SS급이 되고 싶지만 사실 아직 그럴 능력치가 안되기 때문에 S급 중고로 재탄생 하기 위해 다시 시작했다.

페어프로그래밍 할때 이전과는 확실히 다른 자세로!!

페어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고 페어프로그래밍의 시너지를 잘 발휘 할 수 있도록 노력 해보려고 하고 있다.

그렇게 하려면 일단 내 실력을 조금이나마 향상 시켜야된다. 반복 of 반복이 제일 중요한것 같다.

그래서 주말마다 그 주에 TIL을 다시 보면서 공부했던 내용을 다시 읽어 볼겸,

TIL에서 강조할 부분들을 글씨색이라던가 형광강조 등 보강+수정을 하면서 복습을 해보려 한다.

이것이 공부의 한 방법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테스트(서식꾸미기) 해보려한다... 

 


 

#2 변수와 자료형 

 예전에는 변수, 선언, 할당, 표현식 이런 단어들이 엄청 생소했다.  하지만 이제는 하도 많이 보고 들어서 알 수 있다. 

변수는 데이터를 담으려는 공간(메모리=(바구니))를 생각하면 되고,

참고로 할당이 없는 변수는 undefined를 나타낸다. Ex) let myname;  // undefined

선언은 그런 공간을(바구니를) 컴퓨터에게 선언하는 것이고, (컴퓨터야 나 이거 변수로 쓸테니까 알아둬~~~)

할당은 연산자(가감승제)를 이용해서 오른쪽에 있는 연산자의 값을 왼쪽 연산자에 배정(할당)하는 뜻이고,

마지막으로 표현식은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코드를 말한다. 

 

변수의 타입의 종류에는 Number, String, Boolean, 배열, 객체, 함수, undefined

배열은 순서가 있는 집합 타입  /  객체는 여러 값들을 결합시킨 복합 타입

*중요) typeof 연산자 

typeof (데이터)  => 데이터의 자료형을 판별하여, 문자열로 반환한다.

Ex) typeof 42 => 'number'                  typeof 'bubble' => 'string' 

        typeof true => 'boolean'            typeof true => bubble => 'undefined'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typeof

 

typeof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평가 전 자료형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3 함수

 함수는 입력(input)을 받아, 출력(output)을 하는 '작은 기능의 단위' 로써 코딩할때 빼놓을수 없는 중요한 단어이다.

함수는 두가지 방식으로 선언 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함수 선언식'과 '함수 표현식'이다.

- 함수 선언식
 function declareOfFunction(input) {
 // 함수의 기능
 }
 
- 함수 표현식
 let expressionOfFunction = function(input) {
 // 함수의 기능
 }

 

함수가 실행되고 나면, 결과값을 리턴(return)한다. 

function minusOne(input) {
  input = input - 1;
  return word;
}
let result = minusOne(10); // 9
// word를 return 했지만, word는 선언되지 않았으므로 오류

function functionWithoutReturn() {
  console.log('I may return!');
}
let result = functionWithoutReturn(); // undefined
// 아무것도 return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리턴해야 한다.

 

#4  코플릿(변수와 자료형)

오늘 네비게이터를 하면서 느낀건데 코플릿을 풀때에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기본코드를 싹다 지우고

아예 공백에서 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았다

 

6번 문제(_callFunction)는 typeof 가 나와서 리마인드 하는 느낌으로 typeof를 MDN을 끄적여 보았다.

7번 문제(_type)는 새로운 문제였다. (파라미터 2개를 이용한 함수를 만듦)

8번 문제(_plusRightType)는 +의 올바른 작동에 관한 문제였다.

let score1 = 90 + 'abc' ; // '90abc' string + string

let score2 = 90 + '10';   // '9010' number + string
let score3 = 90 + 10;    // 100    number + number

9번 문제(_convertToNumber)는 임의의 값을 number의 형태로 형변환

10번 문제(_convertToString)는 임의의 값을 string의 형태로 형변환

Number('임의의 값') => 숫자의 형태로 리턴
function convertToNumber(anything)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return Number(anything);
}

String('임의의 값') => 문자열의 형태로 리턴
function convertToString(anything) {
  // TODO: 여기에 코드를 작성합니다.
  return String(anything);
}

 

 

 

 

3. Tomorrow Todo

  • 조건문
  • 코플릿(조건문)
  • 문자열
  • 코플릿(문자열)

플러스 알파~

'코드스테이츠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008] 20.07.29  (0) 2020.07.29
[TIL-007] 20.07.28  (0) 2020.07.28
[TIL-005] 20.07.24  (0) 2020.07.24
[TIL-004] 20.07.23  (0) 2020.07.23
[TIL-003] 20.07.22  (0) 2020.07.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