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racket Notation
- npm 설치
- for in
- global scope
- testbuilder
- includes
- for of
- indexof
- javascript 기초
- 호이스팅
- immutable
- 코딩게임
- 코드스테이츠 1일차
- 2번째 페어
- TIL
- Jest
- HTML 태그 모음
- foreach
- JavaScript Runtime
- local scope
- supertest
- nvm 설치
- 슈도코드
- dot notation
- version control system
- node 설치
- 코플릿
- 스프린트 리뷰
- package.json
- Splic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4)
Honey-Programming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Linked List (연결 리스트) 리스트의 첫번째 노드 'HEAD' ,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 'TAIL' TAIL 노드의 주소(레퍼런스)는 null이다. next : 마지막 노드를 가리키는 next pointer 각 노드는 (1) 현재 데이터, (2) 데이터의 주소(레퍼런스) 를 가진다. 크기가 동적인 자료구조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자료구조를 구성하는 요소 => 노드(Node)라고 부른다. 노드의 연결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 연결 리스트의 어떠한 임의의 지점에 데이터의 추가와 삭제를 할 경우, O(1) (상수 시간)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 추가와 삭제에 대해 O(n) (선형 시간)의 복잡도를 갖는 배열과는 다르다. 추가와 삭제 속도에 대한 대가로, 연결 리스트의 각 노드는 인덱스를 ..

이머시브 넷째날! 태풍이 올라오고 있어서 그런지 어젠 비 엄청나게 오더니, 오늘은 다행이 비는 안오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바람이 많이 불어주는 덕에 오랜만에 집 창문을 다 열고 시원하게 맞바람 치면서 공부를 하니까 상쾌했다. 오늘부터는 이머시브의 본격 시작인 Data Structure 자료구조를 시작했다. 그리고 새로운 페어분과 같이 이번 스프린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번 페어분도 성격도 좋아보이시고, 코딩 능력과 개념에 대한 이해도 잘하신거 같았다. 페어를 하던 도중 나는 중간에 git push와 pull을 하다가 꼬여서 버벅이고, Conflict도 내고 했던것 같다. 그래서 첫날에 했던 Git workflow 스프린트에 있는 '충돌(conflict) 해결'을 다시 한번 보고 해결했다. Stack, ..
자료구조 크게 봤을때 4가지 1. 스택과 큐 실생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자료구조, 가장 간단한 자료구조이다. 스택과 큐는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쌍둥이 같은 느낌이다. 스택과 큐는 활용도가 가장 높다. 2. 연결 리스트와 해시 테이블 배열과 같이 여러 데이터를 선형적으로 담을 수 있는 연결 리스트 배열과 어떤 부분이 다른지 생각하면서 공부!! 해시 테이블은 자료구조 중에서 가장 어렵다. 해시 테이블의 장점을 알게되면 해시 테이블을 남용할 것이다. 3. 그래프, 트리, 이진 탐색 트리 그래프, 트리, 이진 탐색 트리는 모두 그래프의 형태를 가지는 자료 구조이다. 그래프의 형태이기 때문에, 수학적인 부분에서만 사용된다. 실생활의 무수히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4. 시간 복잡 프리코스에서..

이머시브 셋째날! 오늘 노래는 비도 오고 하니 딱 이 노래다. 비도 새고 그래서 니 생각이 나서~ 창문쪽 천장에서 비가 샌다. 자면서 메트로놈 소리마냥 뚝 뚝 뚝 반복되는 소리를 들으면서 잘것 같다. 오늘은 이전에 혼자 풀었던 HA...를 페어랑 같이 풀었다. 이전 페어 프로그래밍이랑 약간 다른점이라고 한다면, git workflow를 배운것을 활용해서 풀었다는 점이다. 네비게이터와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푸는 방식은 똑같았다. 다만, 한 문제씩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네비게이터의 js파일을 리모트 레파지토리에 수정한 파일들을 add, commit, push 를 해서 리모트 영역에 업로드를 했다. 그리고 다음 네비게이터 할 사람이 pull 을 해서 자신의 로컬로 가져와서 작업을 다시 했다. 이런 방식을 반복하..

이머시브 둘째날 오늘은 말하는대로~ 마음먹은대로~ 생각한대로~~ 됬으면 좋겠다라는 뜻에서처진 달팽이의 '말하는대로'를 들으면서 하루를 끝낸다. 어제부터 하긴 했지만 이머시브와서 첫 페어프로그래밍이다. 어제 오늘 페어분과 같이 문제를 풀었는데, 내가 조금 실수를 해서 버벅여도 다시 바로 잡을때까지 잘 기다려주시고, 훈훈하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었다. 덕분에 코딩을 좀 더 편한 마음과 이전과는 다르게 재밌게 할 수 있었다. 내일은 이전에 했던 HA...를 페어랑 같이 다시 풀어보는 시간이다. 과연 페어분은 어떻게 풀었을지 궁금하기도 하다. 이번엔 HA와 고독한 싸움이 아니라 페어랑 같이 싸울 수 있으니 좀 든든한 느낌이 든다. 오늘은 여기까쥐~

1. 진행하려는 Sprint의 Repository를 Fork 해온다. 2. 복사해온 스프린트 레포지토리를 각자의 로컬로 가져온다. git clone 3. 페어의 레포지토리와 나의 로컬을 연결해야 한다.(서로 공유를 하기위함) git remote add pair git remote -v 4. 코드를 추가 또는 수정 했으면 파일을 추가하고 commit을 한다. git add git commit -m 'change' 5. 작업한 코드를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push git push origin master 6. 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자신의 로컬로 pull을 사용해서 코드를 가져옴 git pull pair master 7.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고 commit한다. git add git commit -m 'chan..

JavaScript Runtime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 Runtime - 프로그램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 -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예전에는 JavaScript Runtime 대표적인 것으로 Web Browser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node.js 라는 새로운 JavaScript Runtime이 나왔기 때문에 브라우저가 아닌곳에서 실행이 가능해졌음. 즉, 웹 페이지 뿐만 아니라 Server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또 JavaScript Code를 Browser에서 실행시킬수도 있고, node.js 환경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 태그 내에 test.js const test = function(a,b) { console.log("result : ",a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