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플릿
- 코드스테이츠 1일차
- includes
- 2번째 페어
- dot notation
- 스프린트 리뷰
- version control system
- indexof
- javascript 기초
- JavaScript Runtime
- local scope
- HTML 태그 모음
- Jest
- testbuilder
- Bracket Notation
- 코딩게임
- supertest
- global scope
- for in
- 호이스팅
- package.json
- Splice
- node 설치
- 슈도코드
- for of
- foreach
- TIL
- npm 설치
- nvm 설치
- immutable
- Today
- Total
목록코드스테이츠/Immersive (7)
Honey-Programming

Instantiation Patterns(인스턴스를 만드는 과정) 4가지 Class 선언 방식 1. Functional 2. Functional Shared 3. Prototypal 4. Pseudoclassical 1. Functional Instantiation 방식 (자동차 공장을 만들어 보자) (1) 함수 실행했을 때, 찍어내 줄 객체를 선언 (2) someInstace의 position을 0으로 초기화, Car 함수가 실행되어 나온 인스턴스의 postion이 초기값은 항상 0 (3) someInstance에 move라는 메소드를 추가. function 내부에 있는 this는 someInstace를 뜻함 this.position은 someInstance.position과 같고, 실행시 positi..

1. Graph Graph 란 Node(또는 정점 vertex) 와 Node들을 잇는 Edge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 그래프는 무방향일 수 있음 간선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노드가 대칭일 수 있다는 의미 방향성(directed)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는 비대칭 관계를 의미 1) 진입 차수 & 진출 차수 진입 차수(In-degree) :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 노드에서 오는 간선의 수를 의미한다. (다른 말 '내차수') 진출 차수(Out-degree) : 방향 그래프에서 외부 노드에서 오는 간선의 수를 의미한다. (다른 말 '외차수') 2) 그래프(Graph)의 구현방식 (인접 행렬, 인접 리스트)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을 리스트로 표현한 것. 방향..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Linked List (연결 리스트) 리스트의 첫번째 노드 'HEAD' ,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 'TAIL' TAIL 노드의 주소(레퍼런스)는 null이다. next : 마지막 노드를 가리키는 next pointer 각 노드는 (1) 현재 데이터, (2) 데이터의 주소(레퍼런스) 를 가진다. 크기가 동적인 자료구조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자료구조를 구성하는 요소 => 노드(Node)라고 부른다. 노드의 연결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 연결 리스트의 어떠한 임의의 지점에 데이터의 추가와 삭제를 할 경우, O(1) (상수 시간)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 추가와 삭제에 대해 O(n) (선형 시간)의 복잡도를 갖는 배열과는 다르다. 추가와 삭제 속도에 대한 대가로, 연결 리스트의 각 노드는 인덱스를 ..
자료구조 크게 봤을때 4가지 1. 스택과 큐 실생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자료구조, 가장 간단한 자료구조이다. 스택과 큐는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쌍둥이 같은 느낌이다. 스택과 큐는 활용도가 가장 높다. 2. 연결 리스트와 해시 테이블 배열과 같이 여러 데이터를 선형적으로 담을 수 있는 연결 리스트 배열과 어떤 부분이 다른지 생각하면서 공부!! 해시 테이블은 자료구조 중에서 가장 어렵다. 해시 테이블의 장점을 알게되면 해시 테이블을 남용할 것이다. 3. 그래프, 트리, 이진 탐색 트리 그래프, 트리, 이진 탐색 트리는 모두 그래프의 형태를 가지는 자료 구조이다. 그래프의 형태이기 때문에, 수학적인 부분에서만 사용된다. 실생활의 무수히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4. 시간 복잡 프리코스에서..

1. 진행하려는 Sprint의 Repository를 Fork 해온다. 2. 복사해온 스프린트 레포지토리를 각자의 로컬로 가져온다. git clone 3. 페어의 레포지토리와 나의 로컬을 연결해야 한다.(서로 공유를 하기위함) git remote add pair git remote -v 4. 코드를 추가 또는 수정 했으면 파일을 추가하고 commit을 한다. git add git commit -m 'change' 5. 작업한 코드를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push git push origin master 6. 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자신의 로컬로 pull을 사용해서 코드를 가져옴 git pull pair master 7.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고 commit한다. git add git commit -m 'chan..

JavaScript Runtime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 Runtime - 프로그램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 -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예전에는 JavaScript Runtime 대표적인 것으로 Web Browser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node.js 라는 새로운 JavaScript Runtime이 나왔기 때문에 브라우저가 아닌곳에서 실행이 가능해졌음. 즉, 웹 페이지 뿐만 아니라 Server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또 JavaScript Code를 Browser에서 실행시킬수도 있고, node.js 환경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 태그 내에 test.js const test = function(a,b) { console.log("result : ",a + b);..